Topic : 이달의 화제

별빛 인간

에디터 : 심채경 현희진 박주연 전지윤

별은 탄생하는 순간, 일생의 과정과 최후의 모습이 결정된다. 무겁게 태어나 강한 빛을 내는 별은 수명이 짧고, 가볍게 태어나 약한 빛을 내는 별은 수명이 길다. 짧고 굵게 살거나, 가늘고 길게 살거나. 어떤 삶이든 우주에서 소중한 몫을 차지한다. 별을 본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달의 하늘은 어떤 모습일까? 지구 말고 다른 별에서 살 수 있을까? 어린 왕자의 고향은 어떤 별일까? 이달의 토픽에서는 앞선 질문들을 따라 별과 인간의 관계를 알아본다. 별빛 방랑을 마칠 때 즈음에는 밤만 되면 고개를 들어 별을 찾아 헤매던, 그 이끌림의 정체를 확인 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모두 빛나는 존재라는 용기도 함께.

달의 품에 다시 한 번
어릴 적 나는 피아노 학원의 최고참 언니를 동경의 눈길로 바라보곤 했다. 초급자용 바이엘이나 겨우 띵똥거리던 내게 체르니 40쯤은 거뜬히 치는 그 언니는 세계 최고의 피아니스트처럼 보였다. 언니가 매일같이 연습하던 곡은 와이먼Wyman의 ‘은파(銀波)’였다. 태권도를 처음 배우면 달마다 바뀌는 띠 색으로 실력을 가늠하듯이, 피아노 초보들은 “너 은파 칠 줄 알아?” 하면서 서로의 실력을, 혹은 각자가 다니는 피아노 학원 선배들을 자랑하곤 했다. 그러니까 제목은 아주 익숙했지만 ‘은파’라는 단어의 뜻은 생각해 본 적도 없었다.

달빛을 받아 반짝이는 은빛 물결. 은파는 그런 뜻이다. 푸른 여름의 밤 바다위로 밝은 보름달이 고요히 떠오르면 연인들은 그 달빛 아래에 앉아 달이 아름답다고 서로에게 속삭이겠지. ‘당신을 사랑합니다’라는 말을 ‘달이 아름답네요’로 번역했다는 나쓰메 소세키의 일화를 주고받으면서.

달을 연구하는 사람이 되고부터는 달을 바라보노라면 달이 그렇게 아름다운가하고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된다. 달에는 풍찬노숙(風餐露宿)의 역사가 담겨 있다. 대기와 자기장에 포근히 싸여 있는 지구와 달리 달은 어떠한 보호막도 없이 따가운 햇볕을 그대로 받아내야 하는 곳이다. 우주에서 날아오는 크고 작은 돌덩이가 지구에서는 아름다운 빛의 궤적을 남기며 별똥별이 되어 타오르지만, 달에서는 여과 없이 그대로 땅바닥에 처박힌다. 지금은 그런 유성이 가끔 하나씩 떨어지지만 아주 오래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달은 그렇게 조용하지 않았다.

시작부터 그랬다. 먼 곳에서 날아온 커다란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하면서 달이 생겨났다. 날아온 소행성도, 거기에 부딪힌 지구의 일부도 산산조각이 났다. 조각들은 멀리 가지 못하고 지구 주위를 맴돌다가 서로 얽히고 설켜 달의 씨앗이 되었다. 굴릴수록 불어나는 눈덩이처럼 씨앗은 남은 조각들을 주워 삼키며 커다란 달로 자라났다. 이번에는 또다른 소행성이 날아와 달에 부딪혔다. 한 개, 두 개, 열개…… 수없이 이어진 충격으로 달은 온통 불덩이가 되었다. 여러 개의 화산이 동시다발적으로 터진 것처럼 땅 밑 여기저기에서 용암이 흘러나왔다. 소행성들의 대습격이 잠잠해지고 나서야 달은 천천히 식어 오늘날 우리가 보는 형태를 갖출 수 있었다. 거대한 불바다를 이루었던 용암이 서서히 식으면서 제주도 현무암처럼 검은 땅이 되었다. 오늘날 우리가 ‘달의 바다’라고 부르는 어둡고 평평한 지역인 이곳에 불지옥 시절의 흔적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고 생각하면, 그 무늬를 보고 토끼가 방아를 찧는다는 둥, 사람의 얼굴이라는 둥, 물 긷는 여인이라는 둥 하는 낭만적인 상상만 해도 되는 걸까 싶을 때가 있다.

별을 보는 눈
초등학교 3학년 어느 날의 미술 시간을 기억한다. 선생님은 밤하늘을 그려보자고 했다. 마음대로 그려도 상관없지만, 괜찮은 방법이 있다며 크레파스 한 뭉치를 꺼내 들었다. 그리고는 텅 빈 도화지를 온갖 색깔로 채워나갔다. 일정한 모양이나 순서 없이 그저 손에 잡히는 대로, 과감하게. 맨 마지막에는 검은색 크레파스로 그 위를 몽땅 덮어버렸다. ‘왜 애써 칠한 것을 다 덮어버리지?’ 머리 위에 물음표가 떠오를 때쯤 선생님은 이쑤시개를 꺼냈다. 검정색 크레파스 똥이 굴러다니는 도화지 위를 이쑤시개로 살살 긁어 별 모양을 그렸다. 그러자 깜깜한 공간에 형형색색 별
들이 태어나기 시작했다! 어떤 별은 빨간색이었고, 어떤 별은 파란색이었다. 옆자리 짝꿍은 손을 번쩍 들더니 이렇게 말했다. “선생님, 별은 흰색이에요. 저런 별은 없어요!” 선생님은 씩 웃으며 대답했다. “밤하늘을 보면 흰 점들이 빛나는 것 같지만, 사실 별은 아주 여러 가지 색깔을 가졌단다. 하나의 별을 천천히 오래 들여다 보면, 별마다 색깔이 조금씩 다른 것을 알 수 있어!”

밤하늘을 가득 채운 별들을 바라보는 것이 우주가 인류에게 허락한 천문학적 유희라고 하지만, 현대를 사는 우리는 실감하기 어렵다. 도시에 살고 있다면 더 그렇다. 늦은 밤까지 건물에서 새어 나오는 빛과 도로마다 즐비한 가로등 빛이 별빛을 가리기 때문이다. 시골은 도시보다 사정이 조금 나을지 모르나, 맨눈으로 바라보는 밤하늘에는 한계가 있다. 그렇지만 밤하늘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거대한 공간이다.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별인 센타우르스자리 알파별은 빛의 속도로 4년 4개월을 날아가야 한다. 빛의 속도는 초속 30만km이다. 가장 가깝다고 하지만 현재 우주탐사선 기술로는 몇만 년을 가야 도달할 수 있는 어마어마한 거리다. 그만큼 먼 곳에 있기 때문에 우리 눈에는 그저 흰 점으로 보이는 것이다. 어떤 것은 더 밝게 빛난다는 정도의 구분만 가능할 뿐, 모든 별이 다 똑같아 보인다. 하지만 사람의 생김새가 모두 다르듯 별들도 각자의 개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를 가장 선명하게 알 수 있는 요소는 바로 별들의 외모 차이다.

우리는 모두 별에서 왔다
우주의 빅뱅으로 탄생한 별, 지구, 그리고 인간. 인간이 자기 존재를 확장할 수 있는 최대치의 세계, 그것은 우주. ‘나는 누구인가’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깊은 내면세계를 유영하다 보면 의식은 어느새 우주로 향한다. 내가 우주이고 우주가 내 안에 있다는 말도 자연스레 받아들이게 된다. 인간이 모두 별에서 왔다는 천문학자들의 주장을 증명하는 오래된 기억같은 것일까.

천문학자들은 말한다. ‘우리 인간은 모두 별이 남긴 먼지이다.’ 닿을 수 없는 거대한 우주, 그 거대한 법칙 속 우리 인간은 한낱 먼지같이 무력한 존재라고 생각하면 천문학적 지식이 많지 않더라도 쉽게 받아들일 수 있다. 하지만 인간이 모두 별에서 왔다는 말은 단순히 낭만적인 표현이 아니라 사실을 근거로 한 천문학적 명제이다. 인간을 구성하는 물질은 별의 탄생과 죽음의 과정에서 발생한 수소와 헬륨의 핵융합 반응으로 생성된 별의 원자 쓰레기에서 유래했다. 수소와 헬륨은 빅뱅을 통해 만들어진, 태양계를 구성하는 물질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그 뒤를 이어 탄소, 질소, 네온, 실리콘, 황, 칼슘, 철 등이 우주를 채우고 있다. 그중에서도 수소, 탄소, 질소, 산소, 인, 황은 지구상 모든 생명체에서 공통으로 발견되는 여섯 가지 원소이다. 우리 인간의 DNA를 구성하는 주요 원소들은 현재 우리가 존재하는 방식을 완성하는 토대이기도 하다. 원소들이 별 속에서 합성되고 흩뿌리는 과정을 통해 행성이 만들어졌고, 그 행성에서 인류 역시 별과 같은 방식으로 태어난 것이다.

어린 왕자와 웃는 별
사하라 사막에서 비행기 사고를 당해 홀로 비행기를 수리하느라 고생스러웠던 ‘나’에겐 겨우 한 주 버틸 정도의 물이 있었다. 죽느냐 사느냐의 갈림길에 서 있는데 갑자기 작고 기묘한 목소리의 꼬마 어린왕자가 나타나더니 양 한 마리를 그려달라는 별스러운 부탁을 아무렇지 않게 한다. 바쁘지만 쓱쓱 (열심히) 그려줬더니 병든 양, 뿔이 난 숫양, 늙은 양이라 번번이 퇴짜를 놓는다. 슬슬 짜증이 나 구멍을 낸 상자를 그려 “이 안에 양이 살고 있다”하니 웬걸, 만족한 눈치다.

“아저씨가 그려 준 상자의 좋은 점은 밤이면 양이 쉬는 집이 되기 때문”이라지만 나는 안타깝게도 상자 속에 들어 있는 양을 보는 법을 알지 못한다. 비행기를 고치느라 마음도 급한데 이런 거로 시간과 정신을 뺏는 게 귀찮기도 하고. 급기야 “이 양이 가시가 있는 장미를 먹을 수 있냐”는 황당한 질문에 이르러 나는 “꽃이 심술을 부리는 것일 뿐 별 소용도 없다”는 아무 말로 넘기려 해보지만, 어린 왕자는 “아저씨도 다른 어른들이나 마찬가지”라 진정 노여워한다.

‘나’는 인간 어른들이 일으킨 지리멸렬하고 잔인한 전쟁, 그 총체적 난국의 위기에 놓여있다. 설령 구조되거나 비행기를 고친다 해도 시간이 너무 많이 흘러 버리면 아마 갈증에 못 이겨 죽을 수도 있다. 상황이 이러한데 하늘을 날아 세계 곳곳을 다닐 수 있는 비행기가 있는 게 다 무슨 소용인가. 안명진은 『어린 왕자와 지구별 어른』에서 이러한 때에 우리에게는 “무엇보다 삶을 이해하고 안내해 줄 누군가”를 만나야 하고 “물질만이 풍요로운 어른의 세계에 정신의 가난함을 일깨우는 목자가 필요하다”고 한다. 양 한 마리만 그려달라는 황당한 질문을 했던 어린아이에 불과한 그는 사실 본질을 통찰하는 마음의 눈을 가진 현자이다.

July20_Topic_07